|
연 대 | 연 혁 | 757 | · 행정구역을 9주로 확정함에 따라 명주 정선현으로 됨 | 1012 | · 정선현을 정선군으로 승격 | 1895.08.04 | · 칙령 제98호(1895. 5. 26 공포)에 의거 강릉부 정선군이 충주부 정선군이 됨 | 1896.08.04 | · 칙령 제36호(1896. 8. 4 공포)에 의한 13도제 실시로 다시 정선군이 됨 | 1906.10.01 | · 강릉군으로부터 임계면과 도암면이, 평창군으로부터 신동면이 편입(8면) | 1924.07.01 | · 서면을 정선면에 병합(7면) | 1931.04.01 | · 부령 제11호(1931. 2. 28공포)로도암면을 평창군에 편입 | 1935.12.25 | · 정선면의 도암동, 백일동 일부가 평창군 진부면 간평리에 편입. | 1973.07.01 | · 대통령령 제6543호(1973. 3. 12 공포)로 정선면과 동면 사북출장소가 각각 읍으로
승격 (2읍5면) · 대통령령 제6542호(1973. 3. 12 공포)로 삼척군 하장면 가목리와 도전리가 임계면에,
명주군 왕산면 구절리와 남곡리가 북면에 신동면 천포리 일부가 영월군에 편입 | 1980.12.01 | · 대통령령 제10050호(1980. 10.21 공포)로 정선군 신동면이 신동읍으로 승격(3읍4면) | 1985.10.01 | · 대통령령 제10772호(1985. 9. 26 공포)로 사북읍이 분할 고한읍과 사북읍으로 승격
(4읍4면2출장소) | 1986.04.01 | · 대통령령 제11874호(1986. 3. 27 공포)로 북면 북평출장소가 북평면으로 승격
(4읍5면1출장소관할) | 1989.01.18 | · 행정구역 조정에 따라 임계면 봉정리를 북면 봉정리로 편입 |
 |
豊富한 지하자원의 개발 潛存地域 | 1. 석탄 : 연 1,279천톤 생산 (전국 생산량의 28%) | 2. 철 : 연 208천톤 생산 (전국 생산량의 99%) | 3. 석회석 : 100억톤 매장(전국 매장량의 25%) | | 山間 高冷地 石灰岩과 粘質土讓으로 약초생산 適地 | 1. 경지면적중 표고 400m이상 지역 66% | 2. 황기, 당귀, 시호등 전국 생산량의 19%(황기 44,7%) | 3. 전국 유일의 황기 주산지 군으로 농림수산부 지정 | | 天惠의 景觀資源 풍부로 관광개발의 適地 | 1. 자연발생 경승지 35개소 | 2. 석회동굴 37개소 | 3. 1,000m 이상 명산 22개소 산재 |
군조 |
 | 군조(郡鳥): 비둘기 | 자유와 평화의 상징인 비둘기는 군민의 다정다감한 마음씨와 무한한 희망을 나타냄 |
|
군목 |
군목(郡木): 잣나무 | 사계절 늘 푸른잎을 지닌 잣나무는 군민의 변함없는 마음과 굳은 의지를 나타냄 |
|  |
군화 |
 | 군화(郡花): 철쭉 | 꽃말이 사랑의 기쁨으로 자생력이 강하고 관내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으며, 연분홍색으로 순박하고 인정이 많은 군민의 심성을 나타냄 |
|
정선아리랑 캐릭터 |
군마스코트 |
화암동굴 캐릭터 |
| | 1. 총설 | 수려하고 청정한 고원관광지와 정선아리랑의 춤사위를 형상화한 자연 친화적 심벌의 형태로, 미래에 대한 희망과 진취적인 군의 발전을상징하고 있다. |
| | 2. 해설 | 1) |  | 적색은 시작, 번영, 축제, 사랑, 정열을 뜻하는 것으로 정선군의 발전을 위해 정선군민의 정열을모아 번영을 이룩하자는 뜻을 담고 있다. |
| 2) |  | 청색은 과거와 미래가 있는 현재의 색으로 소생과 젊음, 이상, 희망, 조화, 진실을 상징하며 군민의조화와 미래에 대한 희망을 뜻한다 |
| 3) |  | 녹색은 청순, 평화, 생동, 안식 등을 상징하며 정선군의 청정하고 생동감 있는 자연환경을뜻한다. |
| 4) |  | 황색은 명랑, 온화, 광명, 쾌활, 성실을 상징하며 군민의 정서를 뜻한다. |
|
|